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음주 수칙 준수, 만성병 예방의 시작입니다.
    나랏일 보도자료 2019. 4. 20. 06:15
    반응형

     

    주 수칙 준수, 만성병 예방의 시작입니다.

     

    젊은 시절부터 각종 술자리 섭외대상 1위 였던 A씨. 그러나 최근 A씨는 마시는 술의 양 조절이 어렵고, 필름 끊김이 잦아져 술자리 다음날 고민하는 날이 많아졌다. 또한 부쩍 피곤하고, 업무 집중력이 떨어졌다. 고민 끝에 병원을 찾은 A씨는 과도한 음주로 인한 알코올성 지방간이라는 진단과 함께, 음주량을 줄이라는 권고를 받았다.

     

     

     

     

    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는

    제 40회 보건의 날을 맞이하여 지나친 음주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각종 만성질환,

    암 발생 예방을 위한

    건전 음주를 당부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성인 월간음주율은 2005년 54.6%에서

    2010년 60.4%로 증가하였으며,

    같은 기간 고위험음주율* 역시

    14.9%에서 17.2%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50대 남성의 경우

    고위험음주 비율이 전체 평균을

    훨씬 웃도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고위험음주율(WHO 기준) : 연간음주자 중

    1회 평균 음주량이 소주 7잔 이상(여자 5잔)

    주 2회 이상 음주하는 분율

    연령별 고위험 음주율(남성) : 20대 14.7%,

    30대 21%, 40대 20.3%, 50대 18.6%

    음주자는 비음주자 대비 알코올성 정신병,

    심근병증, 간질환, 식도암 등의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WHO는 2000년 고혈압, 뇌졸중, 알코올성

    심근병증 등 30개 질환이

    음주와 관련 있다고 발표하였다.

    알코올 소비·위해 모니터링을 위한

    국제 가이드라인(WHO, 2000)

    실제 고위험 음주 비율이 높은 연령대에서

    각종 알코올성 간질환이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2010년 총 진료인원 150,723명 중 남성이 86.5%,

    40~50대가 56%를 차지하였다.

    알코올성 지방간(26.8%), 간염(26.1%),

    간경화(13.0%) 등

     

     

     

    [알코올성 간 질환 진료인원 연령대별 분포]

     

     

     

    20세미만 : 2006년 : 0.7%, 2010년 : 0.5%

    20~29세 : 2006년 : 6.9%, 2010년 : 5.0%

    30~39세 : 2006년 : 18.2%, 2010년 : 14.3%

    40~49세 : 2006년 : 30.0%, 2010년 : 26.4%

    50~59세 : 2006년 : 24.6%, 2010년 : 29.6%

    60~69세 : 2006년 : 14.8%, 2010년 : 16.9%

    70세이상 : 2006년 : 4.8%, 2010년 : 7.2%

     

     

     

     

    전문가들은 지나친 음주로 인한 건강상 폐해 방

    지를 위해 다음과 같은

    음주 수칙을 제안하고 있다.

    절대음주량 줄이기술이 센 사람도

    인체가 알코올의 위해에 노출되는

    정도는 모두 같다.

    따라서, 음주량을 줄이는 것이

    가장 기본적 음주수칙이다.

    체적 방법으로

    천천히 나누어 마시기,

    2차가지 않기, 대화 많이 하기,

    금주일 정하기등이 있다.

    음주 상태 살피기일단 취기가 오르면,

    주취 정도를 자각하기 어렵다. 따라서,

    혈중 알코올 농도를 줄이기 위한 수칙이 필요하다.

    구체적 방법으로

    물 자주 마시기, 주와 함께 먹기,

    폭탄주 피하기 등이 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